전체 > 사회최신
응급실 대란 끝? 설 연휴 환자 29% 확 줄어
올해 설 연휴(1월 25~29일) 동안 응급실을 찾은 환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증 환자의 감소 폭이 두드러져 응급실의 혼잡이 다소 완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연휴 기간 전국 413개 응급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는 하루 평균 2만6240명으로 집계됐다. 설 당일인 29일에는 3만2682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지난해 설 연휴(2월 9~12일) 일평균 3만6996명보다 1만756명(29.1%) 감소한 수치다.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는 한국형 중증도 분류체계(KTAS)에 따르면, 경증·비응급 환자(4~5등급)는 하루 평균 1만4039명으로 지난해(2만3647명)보다 41%(9608명) 감소했다. 전체 응급실 방문 환자 중 경증·비응급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도 작년 설 연휴 63.9%에서 올해 53.5%로 10%포인트 낮아졌다.
반면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한 중증·응급환자(1~2등급)는 하루 평균 1435명으로 지난해 1414명보다 소폭 증가했다. 이는 여전히 응급실이 중증 환자 중심으로 운영될 필요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응급실 혼잡이 완화된 배경에는 설 연휴 기간 문을 연 병·의원과 약국 수의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에 따르면, 연휴 기간 동안 운영된 병·의원은 하루 평균 1만4619곳으로, 지난해 설 연휴(3643곳)보다 4배 가까이 늘었다. 약국도 9280곳이 문을 열어 지난해(4473곳)의 2배 이상 증가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9월부터 시행된 응급실 비응급 환자의 진료비 부담 증가 정책도 영향을 미쳤다. 해당 정책에 따라 경증 환자가 응급실을 방문하면 의료비의 90%를 본인이 부담해야 하면서, 응급실 방문을 자제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한편,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설 연휴 직전 성명을 통해 응급의료 현장의 피로도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정부가 응급의료 위기 상황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을 의료계와 논의한 적이 없다"며 "명절뿐만 아니라 향후 지속적인 의료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이번 설 연휴 기간 응급실의 진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중증·응급 수술 및 야간·휴일 수가를 기존 200%에서 300%로 확대했다. 또한 1월 22일부터 2월 5일까지를 '설 명절 비상응급 대응 기간'으로 지정해 응급의료 체계 유지 특별대책을 시행 중이다.
응급실 혼잡 완화를 위한 정책이 일정 부분 효과를 거둔 것으로 보이지만, 의료진의 피로 누적과 중환자실 부족 등의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의료계 간의 협의를 통한 장기적인 응급의료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sisastat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1살에 29억 벌고 먼저 은퇴해, 비법없고 규칙만 지켰다!
- 난임 고생하다 폐경 후, '57세' 최고령 쌍둥이 출산?
- 마을버스에 37억 두고 내린 노인 정체 알고보니..!
- 백만원 있다면 당장 "이종목" 사라! 최소 1000배 이상 증가...충격!!
- 빚더미에 삶을 포가히려던 50대 남성, 이것으로 인생역전
- 역류성식도염 증상있다면, 무조건 "이것"의심하세요. 간단치료법 나왔다!
- 월3000만원 벌고 싶으면 "이 자격증"만 따면 된다.
- 한달만에 "37억" 터졌다?! 매수율 1위..."이종목" 당장사라!
- [화제] 천하장사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개그맨 이봉원, 사업실패로 "빛10억" 결국…
- 한의사 김오곤 "2주 -17kg 감량법" 화제!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서울 천호” 집값 국내에서 제일 비싸질것..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