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사회최신
천운이 도운 에어부산 항공기, 176명 무사 탈출
김해국제공항에서 28일 발생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는 승객 169명과 승무원 6명이 탑승한 채 홍콩행으로 이륙을 준비하던 중 발생했다. 오후 10시 15분경, 기내 꼬리 쪽 선반에서 '타닥타닥' 소리와 함께 연기가 발생했고, 선반 틈새로 불똥이 떨어지면서 연기가 기내 앞쪽으로 확산됐다. 이에 승객들과 승무원은 비상구 7개를 열고 비상 슬라이드를 통해 신속히 탈출했다. 다행히 사망자는 없었으나 7명이 타박상 등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당국은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138명과 장비 68대를 투입했으며, 불은 1시간 16분 만인 11시 31분에 완전히 꺼졌다.
이번 사고는 불과 30일 전에 발생한 무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일어난 것으로, 항공기 안전에 대한 불안감을 더욱 키우고 있다. 사고 후 경찰과 소방당국은 화재 원인을 다각도로 조사하고 있으며, 기내 전자기기나 배터리 발화 가능성뿐만 아니라 정비 불량이나 기체 결함까지 가능성 있는 원인으로 열어두고 있다.
에어부산에 따르면 화재는 기내 후방 좌측 선반에서 최초로 발생했으며, 이를 목격한 승무원은 불꽃과 연기가 선반에서 새어나온 것을 확인했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리튬 배터리 등 전자기기의 발화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리튬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보조배터리, 전자담배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되며, 전 세계적으로 리튬 배터리로 인한 화재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에 따르면, 리튬 배터리 관련 사고는 2016년 32건에서 2024년 78건으로 144% 증가했다. 국내에서도 지난해 12월 김해공항에서 이륙 준비 중이던 에어부산 항공기가 보조배터리에서 발생한 연기로 3시간 40분 지연되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기내 반입 리튬 배터리에 대해 충전 상태를 30%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리튬 배터리의 기내 반입은 용량에 따라 제한된다. 고승희 신라대 교수는 "기온 상승이나 과충전으로 배터리가 부풀거나 화재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를 선반에 보관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며 기내 반입 규제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사고 여객기의 정비 상태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사고 직전 48시간 동안 이 항공기는 17번의 운항을 했고, 저비용항공사(LCC)인 에어부산은 정비를 대부분 해외 업체에 의존하고 있어 정비 소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LCC의 항공기 정비 비중은 2023년 기준 71.1%에 달하며, 이는 해외 정비 의존도가 높은 상황을 의미한다. 한국교통대 이근영 교수는 "LCC의 경우 기체 보유 대수가 적어 교육과 안전에 대한 투자 여력이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는 화재 원인에 대해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기체 제작사인 에어버스와 프랑스 항공사고조사위원회(BEA) 관계자들도 조사에 참여하고 있으며, 31일에는 합동 감식을 위한 일정이 결정될 예정이다. 경찰은 에어부산에 대해 업무상 과실치상 혐의 여부를 조사 중이다. 이 외에도 군 공항인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화재인 만큼, 테러나 대공 용의점에 대해서도 확인이 진행될 예정이다.
sisastat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4개월 만에 35억벌었다!! 주식, 순매도 1위종목..."충격"
- 난임 고생하다 폐경 후, '57세' 최고령 쌍둥이 출산?
- 男性 발보다 더러운 '거기', 세균지수 확인해보니..충격!
- 로또 용지 찢지 마세요. 사람들이 모르는 3가지!!
- 서울 전매제한 없는 부동산 나왔다!
- 서울 천호역 “국내 1위 아파트” 들어선다..충격!
- 월수익 3000만원 가능하다!? 고수입 올리는 이 "자격증"에 몰리는 이유 알고보니…
- 개그맨 이봉원, 사업실패로 "빛10억" 결국…
- "서울 동작구" 집값 상승률 1위…이유는?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
- 2021년 "당진" 집값 상승률 1위..왜일까?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