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사회최신
"아이 낳을 돈이 없다"...사라지는 서민의 결혼과 출산
![asfasfasfasf.jpg](http://img.imagepola.com/20250102/744f66d510bbdb8591143be2d4b96486878262735.jpg)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결혼 건수는 역대 최저를 기록하는 와중에 출생아 수는 오히려 증가했다는 것이다. 2023년 신혼부부는 사상 처음으로 100만 쌍 미만인 97만4452쌍으로 떨어졌다. 이러한 역설적인 현상의 핵심에는 '돈'이 자리 잡고 있다.
2023년 신혼부부의 평균 소득은 7265만원으로, 이는 2015년 4836만원에서 크게 상승한 수치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 금액이 도시근로자 2인 가구 평균 소득(6498만원)보다 11.8% 많고, 중위소득의 두 배에 달한다는 점이다. 실제로 신혼부부 10쌍 중 5쌍은 연소득 7000만원 이상이며, 1억원 이상 고소득 신혼부부 비중도 20.7%로 증가했다.
![faafasfasas.jpg](http://img.imagepola.com/20250102/7fa57cc605c4b13ff3dbc0e0143f1df91327960372.jpg)
이러한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과거에는 가난한 국가일수록 출산율이 높았고, 한 국가 내에서도 저소득층의 출산율이 더 높았다. 하지만 최근 선진국들에서는 이 공식이 깨지고 있다. IMF는 "미국, 독일, 프랑스 등 고소득 국가에서는 경제적 여유가 있는 계층이 오히려 더 많은 자녀를 갖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가 육아 비용의 급격한 상승과 관련이 있다고 지적한다. 자녀 양육에 필요한 교육비와 보육비가 크게 늘어나면서, 경제적 여유가 있는 계층만이 안정적인 출산과 양육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맞벌이가 보편화되면서 여성의 경력 단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제력이 중요해졌다.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2024년 기준으로 결혼 1년 차에 자녀를 출산하는 비율이 21.6%, 2년 차는 42.0%에 달하는 만큼, 현재의 고소득 신혼부부들이 향후 출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제 저출산 문제는 단순한 인구 정책을 넘어 경제적 불평등 해소라는 더 큰 과제와 맞닿아 있다.
sisastat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난임 고생하다 폐경 후, '57세' 최고령 쌍둥이 출산?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도박빚 10억 여배우K양 '이것'후 돈벼락 맞아..
- 로또 972회 번호 6자리 몽땅 공개, "오늘만" 무료니까 꼭 오늘 확인하세요.
- 로또 용지 찢지 마세요. 사람들이 모르는 3가지!!
- 로또용지 뒷면 확인하니 1등당첨 비밀열쇠 발견돼
- 역류성식도염 증상있다면, 무조건 "이것"의심하세요. 간단치료법 나왔다!
- 월수익 3000만원 가능하다!? 고수입 올리는 이 "자격증"에 몰리는 이유 알고보니…
- 일자리가 급급하다면? 月3000만원 수익 가능한 이 "자격증" 주목받고 있어..
- 한달만에 "37억" 터졌다?! 매수율 1위..."이종목" 당장사라!
- 폐섬유화 환자 98% 공통된 습관 밝혀져…충격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당뇨환자', '이것'먹자마자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빠진 치아" 더 이상 방치하지 마세요!!